개발로드

☆KDT 2024-04-19★Linux Server-설치 및 명령어 본문

JAVA

☆KDT 2024-04-19★Linux Server-설치 및 명령어

위대한개발자 2024. 4. 19. 09:58

가상머신 구동을 위한

Oracle VM VirtualBox 설치

 

리눅스 서버를 위한 ubuntu 설치

 

 

가상머신 추가


 

추가하기 선택

 

설치할 폴더명 추가

 

새로만들기 선택

 

 

 

 

 

 

서버 설정


 

생성완료 => 설정 선택

 

 

 

 

 

 

서버설치 


 

 

 

 

 

 

리눅스 명령어


<Linux>

 

1. X윈도우

  • GUI를 리눅스에 제공
  • 하나의 유틸리티 일 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님
  • X윈도우를 사용하기 위한 Ubuntu Desktop 환경 - GNIME(그놈)

2. 주의사항

  • 리눅스는 모든 명령어에서 대소문자를 명확히 구분
  • 명령 프롬프트 # : root
  •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$ : 일반 사용자

3. 일반 사용자가 관리자(root 사용자) 권한을 얻기

  • sudo 명령어를 실행한 후 ubuntu 사용자 암호를 입력한 처리
  • $su - root
  • 처음 사용시는 root 암호를 설정해줘야 함
    • sudo passwd root

4. 시스템 종료

  • 바탕화면 아이콘 - 컴퓨터 끄기/로그아웃 - 컴퓨터 끄기
  • 터미널/콘솔에서 시스템 종료 명령 입력
  • poweroff, shutdown -p now, halt -p, init 0

5. 시스템 재부팅

  • reboot, shutdown -r now, init 6
  • shutdown -r 22:00 -> 오후 10시에 재부팅
  • shutdown -c -> 예약된 shutdown을 취소
  • shutdown -k +10 -> 현재 접속한 사용자에게 10분후에 종료된다는 메세지를 보내지만 실제로 종료되지는 않음

6. 로그아웃

  • 리눅스는 여러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해서 사용하는 Multi-User이므로 자신만 접속을 끝내는 로그아웃이 필요
  • 만약 관리자가 자신이 사용하지 않는다고 시스템을 종료시켜 버리면 시스템에 접속된 많은 사용자는 작업 중에 컴퓨터가 종료되는 황당한 경험을 하게 될 것임
  • logout : 시스템의 종료와 의미가 다름
    • 현재 사용자의 시스템 접속을 끝낸다는 의미이지 시스템을 종료한다는 의미는 아님
  • exit : 콘솔 모드에서 종료

7. 기본 명령어

  • ls : 목록 보기
  • ls -a : 슴김목록 보기
  • ls -al : 숨김목록까지 자세히 보기
  • clear : 현재 화면 지우기
  • 위/아래 화살표: 기존에 입력한 내용 보기
  • 첫 글자 또는 몇 단어 쓰고 + tab : 자동 완성
  • history : 지금까지 사용한 명령어를 볼 수 있음
  • history -c : 히스토리 삭제
  • pwd : 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로 현재 디렉토리의 경로를 화면에 보여 줌
  • cd : Change Directory의 약자로 디렉토리를 이동
  • cd  .. : 상위 단계로 이동
  • cd ~ : home directory로 이동
  • rm : Remove의 약자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
    • 삭제할 때는 현재 사용자가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할 권한이 있어야 함
    • root 사용자는 모든 권한이 있음으로 이 명령어 사용에 제약이 없음
    • 주의) 리눅스는 우니도우 처럼 휴지통 개념을 잘 사용하지 않으므로 삭제한 파일이나 폴더를 복구하기가 상당히 어려움.
  • mv : Move의 약자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이름을 변경하거나 다른 디렉토리로 옮길 때 사용
  • mkdir : MakeDirectory의 약자로 새로운 디렉토리를 생성, 생성된 디렉토리는 명령을 실행한 사용자의 소유가 됨
  • rmdir : RemoveDirectory의 약자로 디렉토리를 삭제, 해당 디렉토리를 삭제 할 수 있는 구너한이 있어야 하며 디렉토리는 비어있어야 함
    • 파일이 들어있는 디렉토리를 삭제하려면 'rm -r'을 실행해야 함
  • cat : ConCatenate의 약자로 파일 내용을 화면에 보여줌, 여러 개의 파일을 나열하면 파일을 연결해서 보여줌
  • cp: copy 파일이나 directort를 복사
    • 새로 복사한 파일은 복사한 사용자의 소유가 됨
    • 명령을 실행하는 사용자는 해당 파일의 읽기 권한이 필요함

 

8. 가상 콘솔

  • 가상의 모니터
  • 우분투는 총 6개(2번~7번)의 가상 콘솔을 제공
  • X윈도우가 가동된 화면은 2번째
  • X윈도우 창 : Ctrl + Alt + F2
  • 가상 콘솔로 이동 : Ctrl + Alt + F2~F7(1초 동안 꾹 누름)

9. 우분투 리눅스에서 자주 사용하는 에디터

  • gedit
  • nano
  • vi

10. vi 편집기

  • i : 현재 커서의 위치부터 입력
  • a : 현재 커서의 위치 다음 칸부터 입력
  • I : 현재 커서줄의 맨 앞에서부터 입력
  • A : 현재 커서 줄의 맨 마지막부터 입력
  • 줄에 번호 부여하기 : Esc + : + set number
  • 글자 쓰기 : i
  • 기능 : Esc
    • gg - 첫 행으로 이동
    • G - 제일 끝 행으로 이동
    • 숫자G - 해당 숫자의 행으로 이동
    • x - 현재 커서가 위치한 글자 삭제
    • X - 현재 커서가 위치한 앞글자 삭제
    • dd - 현재 커서의 행 삭제
    • 숫자dd - 현재 커서부터 숫자까지의 행 삭제
    • yy - 현재 커서가 있는 행을 복사
    • 숫자yy - 현재 커서부터 숫자만큼의 행을 복사
    • p - 복사한 내용을 붙여넣기
    • w - 저장
    • q - 저장하지 않고 종료
    • wq - 저장하고 종료
    • ! - 취소
    • w! - 저장취소
    • q! - 기존에 변경된 내용은 무시하고 종료

여유가 되신다면 제 GitHub에 오셔서 좋은 코드들을 구경해주세요!

 

https://github.com/gimpo5975?tab=repositories

 

gimpo5975 - Overview

gimpo5975 has 8 repositories available. Follow their code on GitHub.

github.com